오늘은 bitbucket이라는 형상관리 툴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Github에 대해서는 많이 아실테지만 아마도 Bitbucket에 대해서는 조금 생소하실 수 도 있는데, github못지않게 유용하고 관련 툴과 연동하여 좀더 생상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개인프로젝트를 못만들던 깃헙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료툴을 찾다가 사용해봤는데 나름 많은회사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물론 bitbucket뿐아니라 Atlassian에서 만든 Jira라던가 Trello도 연동하여 유용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저는 Trello를 사용중인데 나중에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점과 단점등을 소개해야 하지만 솔직히 git을 이용한 형상관리툴 자체는 거의 비슷하고 git을 이용한 서비스를 사용하셨던 분들이라면 아무런 문제없이 다른 회사에서 서비스중인 툴들을 이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프로젝트와 repository를 생성하고 관리하는것도 요즘은 무제한으로 생성가능하고 관리할 수 있는거같습니다. 

이제 유료 서비스 과 무료 서비스의 다른점은 팀원을 몇명까지 묶어서 할 수 있느냐 전문적인 비스를 받을 수있는냐 이런 것들입니다. 어쨋든 이런것들은 잘 살펴보시고 필요한 것을 선택하셔 사용하시면될거 같습니다.  홍보를 하는 건 아니지만 혹시 필요하신분들을 위해 링크를 걸어두도록 하겠습니다. 

https://bitbucket.org/product/pricing 

 

 

깃헙의 경우 프로그램이 소스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웹말고 앱으로 따로 존재하는데 Bitbucket또한 sourcetree라는 앱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Gitbut과 Sourcetree 두가지를를 다 사용해본 경험자의 의견으로서는.. 솔직히 거의 비슷합니다. 그냥 전체적인 UI나 세부 사항이 몇개 다른 정도...

아래는 SourceTree의 UI입니다. 

거의 비슷한 서비스과 기능에도 불구하고 MS의 Github이 아닌 Atlassian의 Bitbucket을 사용하고 있느냐 물어보신다면

Trello라는 서비스와 같이 사용하기에 좀더 편리한 이유입니다. 같은 회사가 서비스를 하고 있어서 Bitbucket안에 trello의 게시판을 Embeded하여 한 웹에서 한번에 확인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는 현재 제가 구항하고 있는 웹서비스와 프로젝트를 Atlassian의 서비스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Trello에 대해서는 좀 뒤에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사항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Recent posts